좀께묵
				
				관리자				
				
				
				0
				
				
				21,915
				
					
					2017.05.18 06:45				
			
		| 식물 정보 | |
| 식물명 | 좀께묵 | 
| 학명 | Hololeion maximowiczii Kitam. var. fauriei (H. Lév. & Vaniot) J. H. Pak | 
| 분류 | 국화과 | 
| 종특성 | 두해살이풀 | 
| 타입 | 초화 | 
| 꽃색상 |  | 
| 개화시기 | 8월 | 
| 생장길이 | 50~100cm | 
| 자생지역 | 강원도이남 | 
| 생태 및 재배주기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 
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           생육환경
  			
  			
	
	| 수분 | |
| 광선 | |
| 내한성 | |
| 토양 | 
| 공간별 분류 | |
| 가치유형별 분류 | |
| 계절별 분류 | 여름 | 
| 생태적특성 | 
| 산지에 위치한 습지에 높이 0.5~1m 정도로 드물게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. | 
| 활용가치 | 
| 관상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. | 
| 형태적특성 | 
| 이년생 초본으로 높이 50~100cm,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스러지거나 남아 있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양 끝이 좁으며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. 경생엽은 호생하며 중앙부의 것은 엽병이 없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서 선형으로 된다. 꽃은 8~10월에 피고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관은 황색이다. 열매는 수과로 흑색 점이 있거나 흑색이고 관모는 갈색이 돈다. | 
| 참조 | 
| 관상용 가치가 높은 고유종이다. 한국 고유종으로 전국의 산지에의 습지에 드물게 분포하며 관상가치가 높다. | 
| 유사종 | 
| 께묵 | 
| 참고 | 


